과거 연안 수치해도의 수심데이터가 필요했다.
각 지점마다 정확한 위도/경도 데이터가 필요했다.
따라서 .jpg 형식의 데이터에 위도/경도 데이터를 입혀 .tif로 변환했다.
해양 과거 수치해도 다운
1. 국립해양 조사원 개방海에 접속
http://www.khoa.go.kr/oceanmap/main.do
국립해양조사원 개방海
www.khoa.go.kr
2_1. 좌측 해양정보 서비스 탭 클릭
2_2. 고해도 클릭
2_3. 해역 선택
3_1. 지역 선택
3_2. 년도 선택
4_1. F12 입력
4_2. top/www.khoa.go.kr/file/ 경로 내에 생성된 파일 우클릭
4_3. 새탭에서 열기 클릭 시, 해당 파일 다운
좌표 입력
1_1. QGIS 다운로드
https://www.npackd.org/p/qgis64/2.18.16
1_2. QGIS Desktop 실행
QGIS 64 Bit 2.18.16
Description:Create, edit, visualise, analyse and publish geospatial information.
www.npackd.org
2. 플러그인 설치
-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
- 'TMS for KOREA' 검색 / 플러그인 설치
- 'GDAL 지오레퍼런서' 검색 / GDAL 지오레퍼런서 체크
3. 웹 → TMS for Korea → Daum Maps → Daum Hybrid
4. 프로젝트 → 프로젝트 속성 → 좌표계 → 'WGS 94 / UTM zone 52N' 선택
or Ctrl+Shift+p → 'WGS 94 / UTM zone 52N' 선택
5. 지오레퍼런서 접속
6. 이미지 불러오기
7. 좌표계 설정
8. 좌표 입력 (글 하단의 추가 항목 참고)
- 입력하고자 하는 지점을 픽셀 단위로 확대하여 클릭
- 테두리의 격자를 참고 하여 좌표값 입력
- (이 때, 최소 4개 가능하면 6개의 지점 생성 추천)
- (지점은 격자 내의 어떠한 지점 이라도 상관 없다.)
9. 입력값 결과
- 입력한 지점
- 입력한 지점의 좌표
- 잘못 입력했을 경우 편집
추가 / 삭제 / 이동
10. 결과 확인
http://rcn.montana.edu/resources/Converter.aspx
해당 페이지에서 내가 입력한 값이 제대로 적용 되었는지 확인 가능
Lat/Lon and UTM Conversion - Yellowstone Research Coordination Network
NOTE: UTM and NATO easting and northing values are rounded to the nearest meter. Conversions to NATO coordinates are only done for the WGS84 ellipsoid. WGS 84 NAD 83 GRS 80 WGS 72 Australian (AGD 66/84) Krassovsky 1942 North American 1927 Hayford 1909 Clar
rcn.montana.edu
11. 파일 변환
+. 2000 이전 데이터는 위성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존재 한다. (지도 우측 상단 참고)
- 이 때, 다음을 참고
- 2000년 이전 데이터 중 위성 장치를 사용한 경우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 이 때, 초록색으로 표시된 좌표를 기준으로 점을 입력하면 된다.
+. 매트랩으로 출력
'데이터 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pernicus] 데이터 다운 (FTP) (0) | 2023.03.01 |
---|---|
과거 수치해도 데이터 정점 입력 (0) | 2023.02.21 |
[open api]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 (0) | 2023.01.30 |
[open api] 기상청 태풍 정보 (임시) (0) | 2023.01.26 |
open api 데이터 이용 (공공데이터포털) (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