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과거 수치해도 데이터 좌표 입력에서 이어집니다.
https://hummingstereo.tistory.com/42
과거 수치해도 데이터 좌표 입력
과거 연안 수치해도의 수심데이터가 필요했다. 각 지점마다 정확한 위도/경도 데이터가 필요했다. 따라서 .jpg 형식의 데이터에 위도/경도 데이터를 입혀 .tif로 변환했다. 해양 과거 수치해도 다
hummingstereo.tistory.com
저번 글에서 좌표를 입힌 데이터에
정점을 찍고 해당 구역의 수심, 좌표를 엑셀에 입력하는 과정 입니다.
목차
- QGIS 레이어 설정
- 마커 설정
- 정점 추가
- 엑셀 입력
- 주의 사항
1. QGIS 레이어 설정
- 이전에 변환해서 좌표가 입력된 .tif 파일을 Qgis 프로그램에 드래그 / 드롭
- 상단 [레이어] → [레이어 생성] → [새 Shape 파일 레이어]
or 단축키 [ctrl + shift + n]
3. 필드 설정
- 기존 필드 제거
- 새 필드 추가
- 레이어 저장
- 좌측 하단 생성된 레이어 확인
4. 마커 설정
5. 마커 추가
- 숫자 클릭 후 수심 입력
- 큰 숫자 : 정수
작은 숫자 : 소수 - 숫자 밑 '_'가 있으면 음수
6. 마커 삭제 / 수정
- 삭제
- 3. 삭제 하고 자 하는 마커 선택 or 드래그
- or [ctrl + z]
- 수정
7. 리스트 확인 / 테이블 좌표 추가
- Longitude
1. 출력 필드 이름 : lon
2. 출력 필드 유형 : 십진수 (real)
3. 정확도 : 3
4. 표현식 : %x - Latitude
1. 출력 필드 이름 : lat
2. 출력 필드 유형 : 십진수 (real)
3. 정확도 : 3
4. 표현식 : $y
8. 리스트 확인
9. 엑셀 입력
'데이터 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 api] 1년치 조위 그래프 자동 생성 (2) | 2023.03.13 |
---|---|
[Copernicus] 데이터 다운 (FTP) (0) | 2023.03.01 |
과거 수치해도 데이터 좌표 입력 (0) | 2023.02.07 |
[open api]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 (0) | 2023.01.30 |
[open api] 기상청 태풍 정보 (임시) (0) |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