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공공 데이터 포털 접속 : https://www.data.go.kr/index.do
1-2. 검색 버튼 클릭
2. json 형식 데이터 검색
3-1. 참고문서 칸의 파일을 통해 manual 정보 취득
3-2. 회원가입/로그인 후 활용신청 클릭
4. 입력값, 결과값 확인 (manual에도 기술되어 있음)
5-1. 마이페이지의 신청승인된 항목 클릭
5-2. 표시된 곳의 개인 인증키를 코드의 inp.key 변수값에 입력
manual
(기술문서_정류장 주변도로 미세먼지빅데이터 기반 대응시스템 공공데이터 조회 (최종).docx)
- 공공데이터 포털 도메인 : http://apis.data.go.kr/
- 기관 코드 : 6410000
- API 서비스명 : GOA
- 오퍼레이션 명 : GOA001
- 요청 변수를 붙일 때 ?로 시작
- &로 각 요청 변수 구분
- 해당 양식을 참고 하여 코드 작성
코드 예제
clc; clear;
%% input
% 일반 인증키(Encoding)
inp.key = 'type your key';
inp.type = 'json';
inp.row = 10;
inp.page = 1;
%% output
dir{1} = fullfile(pwd,'output');
for ii = 1:length(dir)
if isfolder(dir{ii}) == 0
mkdir(dir{ii})
end
end
%% download data
% GOA001
tp.url1 = ['http://apis.data.go.kr/6410000/GOA/GOA001?ServiceKey=',inp.key,'&type=',inp.type,'&numOfRows=',num2str(inp.row),'&pageNo=',num2str(inp.page)];
dat1 = webread(tp.url1,'options','json');
% list : busno, area, name
for ii = 1:length(dat1.items)-1
GOA.num{ii} = dat1.items{ii}.busno;
GOA.area{ii} = dat1.items{ii}.area;
GOA.name{ii} = dat1.items{ii}.name;
end
% GOA002
for ii = 1:length(dat1.items)-1
tp.url2 = ['http://apis.data.go.kr/6410000/GOA/GOA002?ServiceKey=',inp.key,'&busno=',GOA.num{ii},'&type=',inp.type,'&numOfRows=',num2str(inp.row),'&pageNo=',num2str(inp.page)];
dat2 = webread(tp.url2,'options','json');
GOA.temp{ii} = dat2.result.data.temp;
GOA.wdir{ii} = dat2.result.data.wd;
GOA.wmag{ii} = dat2.result.data.ws;
GOA.co{ii} = dat2.result.data.co;
end
save(fullfile(dir{1},'Gyeonggi_bus_data.mat'),'GOA')
참고 페이지 : https://domdom.tistory.com/233
[API사용] 공공데이터포털 REST API 사용법 (JSON)
공공데이터포털에는 수많은 데이터들이 있죠! 이 데이터들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REST API 사용법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일단 먼저 어떤 데이터를 활용할지 공공데이터포털에 들어가봅니다! https
domdom.tistory.com
주의 : 각 데이터 마다 결과 값의 형식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게 코드 변형
'데이터 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pernicus] 데이터 다운 (FTP) (0) | 2023.03.01 |
---|---|
과거 수치해도 데이터 정점 입력 (0) | 2023.02.21 |
과거 수치해도 데이터 좌표 입력 (0) | 2023.02.07 |
[open api]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 (0) | 2023.01.30 |
[open api] 기상청 태풍 정보 (임시) (0) | 2023.01.26 |